안녕하세요. 오늘은 곧 다가올 민족 최대의 명절 2017년 정유년 설날을 맞이해서 차례상 및 제사상 차리는 방법, 제사지내는 순서등 설날 차례와 제사에 관련된 것들을 포스팅해볼려고 합니다.
옛날 어른분들은 이복잡한 걸 어떻게 다외우고 계셨는지...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다들 참고하셔서 다같이 모이는 설날에 당황하시는일 없길 바랍니다.
먼저 차례상 차리는 방법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보통 5열로 차리게 됩니다.
- 1열 : 시접, 잔반, 밥, 국(명절에는 떡국, 송편)
- 2열 : 생선, 고기
- 3열 : 생선, 두부, 고기탕, 탕류
- 4열 : 포, 식혜
- 5열 : 대추, 밤, 배, 곶감, 과일
tip) 제사상 차림 격언
- 고비합설 : 내외분일 경우 남자조상과 여자 조상은 함께 차린다.
- 시접거중 : 수저를 담은 그릇은 신위의 앞 중앙에 놓는다.
- 반서갱동 : 밥은 서쪽, 국은 동쪽(살아 있는 사람과 반대로 둔다.)
- 적접갱동 : 구이는 중앙
- 어동육서 :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 동두서미 :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 배복방향 : 닭구이나 생선포는 등이 위로 향한다.
- 면서병동 : 국수는 서쪽, 떡은 동쪽
- 숙서생동 : 익힌 나물은 서쪽, 생김치는 동쪽
- 서포동해 : 포는 서쪽, 생선젓과 식혜는 동쪽
- 홍동백서 : 붉은색의 과일은 동쪽, 흰색의 과일은 서쪽
- 동조서율 : 대추는 동쪽, 밤은 서쪽
다음은 제사상을 준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제사 음식을 "제수" 라고 표현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는 아니므로 혼란이 없도록 제사 음식이라고 쉽게 표현하겠습니다.
※ 제사음식 준비 절차
- 밥, 국, 숭늉 제사 지내는 "신위" 수대로 준비합니다.
(명절에는 떡국이나 송편으로 대신합니다.)
- 밥은 그릇에 담아 뚜껑을 덮어둠니다.
- 국은 쇠고기 뭇국으로 덮개를 덮어둠니다.
- 숭늉은 냉수 또는 더운 물에 밥알을 조금 풀어둠니다.
- 제사 모시는 "신위" 수와 무관하게 준비하는것
(술, 식초, 간장, 떡, 찌개, 부침개, 구이, 포, 식혜, 나물, 김치, 과자, 과일 등)
- 술은 맑은 술 준비합니다
- 신초와 간장은 종지에 담습니다.
- 떡은 보통 시루떡 사용합니다.
- 찌개는 홀수로 준비합니다.
- 나물색이 다른 3가지 준비합니다.
- 김치는 나박김치를 준비합니다.
- 과일은 짝수로 준비합니다.
- 부침개는 고기 또는 생선전
- 구이는 조기, 쇠고기, 닭 등을 사용
- 어포를 사용할 경우 등이 위로 가게 담아둠니다.
마지막으로 제사를 지내는 순서를 알아보겠습니다.
- 제사지내기전 문을 열어둔다.(입구)
- 제주가 조상님을 모시기 위해 향을 피운다.
- 술잔을 올리고 2번 절한다.
- 참가자 전원 2번 절한다.
- 첫 술잔을 올린 후 2번 절한다.
- 서열에 따라 술을 올린 후 2번 절한다.
- 마지막 잔을 올린다.
- 밥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꽂은 후 모두 절한다.
- 숭늉을 올린 후 밥을 조금 떼어 물에 말아둔다.
- 숟가락과 젓가락을 치운 후 밥 뚜껑은 닫는다.
- 제사를 마친 후 두번 절한다.
'생활정보 소소한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날 인사말 BEST 6 (0) | 2017.01.28 |
---|---|
남자/여자 한복입는 방법 (0) | 2017.01.27 |
주택연금 가입조건 (3) | 2017.01.24 |
연말정산 공제요건 체크리스트 (0) | 2017.01.21 |
편리한 연말정산 이용 방법(쉽게 연말정산 하기) (0) | 2017.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