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예금&적금에 대해서 포스팅 해볼려고 합니다. 요즘같은 초저금리 시대에 누가 예금,적금을 하냐고 반박하시겠지만... 그래도 안정성 때문에 여전히 많은 분들이 선호하는 상품입니다. 원금이 보장된다는 장점때문입니다.
그래서 초저금리 시대라도 조금더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어차피 예금,적금을 한다면 조금이라도 더 받는게 좋은거니깐요!
요즘은 "티끌모아 티끌"이라지만, 그래도 티끌도 계속 모으다보면 태산이 될꺼라고 믿습니다. 또한 요즘같은 시대에는 예금,적금으로 돈을 까먹지만 않아도이득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1.가입전, 내게 유리한 금융상품 검색하기
현재 우리나라 은행에서 판매중인 예금,적금 상품은 1000여개! 인터넷 검색이나 지점을 방문하기에는 너무 많은 숫자입니다. 이럴땐 각종 금융정보가 한 군데 모여있는 Fine.fss.or.kr 을 이용하면 효율적입니다. "파인"은 금융감독원이 2016년 9월부터 운영하는 금융정보포털 서비스로 회원가입 없이 금융상품을 한 눈에 비교할 수 있습니다.
"파인"에 월 저축금액과 저축기간, 지역 등을 입력하면 내게 가장 유리한 금융상품을 찾을 수 있고, 해당 금융상품의 세전,세후 이자율, 최고우대금리깢 ㅣ확인할 수 있습니다.
tip)"파인"은 금융상품 정보뿐 아니라 개인계좌나 금융거래 내역 조회도 가능합니다.
2.가입시 "주거래"와 "온라인"으로 추가이자 받기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사용, 자동이체 등의 금융거래를 한곳의 은행에 집중할 경우, 해당 은행의 예금,저금에 가입할 때 추가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창구전용 상품보다는 온라인(인터넷or모바일)전용상품이 이자가 더 높으니, 은행창구에 들르기 전, 홈페이지에 접속해 온라인 전용 예금,적금 상품 정보를 찾아보세요.
tip)2017년 기준, 만 63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 최대 5,000만원까지 "비과세종합저축"에 가일할 수 있습니다. 저축이자에 대한 소득세가 15.4%가 면제되는 상품입니다.
3.예금과 적금으로 쪼개서 저축하기
정기예금 가입을 계획하고 계신다면 저축액 중 일부는 자유적립식 적금에 나눠서 저축하는 방법도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자유적립식 적금은 정기예금보다 금리가 높기 때문입니다. 정기예금은 저축시기를 자유롭게 할 수 있기에 부담도 덜합니다.
ex) -2,000만원 전액을 1.7% 금리의 정기예금에만 넣었을 때 : 34만원
-1,500만원은 1.7% 금리의 정기예금에, 500만원은 1.9%의 자유적립식 적금에 분할해 넣었을 경우 : 35만원
4."급전"때문에 적금을 깨지마세요
살다 보면 갑자기 급한일이 터지기 마련인데요, 이럴때마다 적금을 깨면 안됩니다. 이럴 때는 적금 중도해지를 먼저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예금,적금을 담보로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무작정 빚지기 싫다는 마인드로 대출을 꺼려하시면 안됩니다. 은행을 방문해 중도해지와 담보대출 중 어느 쪽이 유리한지 비교해 보고 유리한 쪽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5.만기 시, 바로 인출!
예금, 적금이 만기되면 약정금리가 아닌 '만기 후 금리"가 적용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통상, "만기 후 금리"는 약정금리보다 무려 50%이상 낮고, 시간이 지날수록 더 낮아집니다. 따라서 당장 돈이 필요하지 않더라도 만기된 예금,적금을 바로 찾아 다른 예금,적금에 예치시키는 것이 가장 유리합니다.
자 예금,적금 이자를 조금이라도 더 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이글을 보는 모든분들이 2017년에는 부자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생활정보 소소한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집 준비물 리스트 (0) | 2017.02.18 |
---|---|
머리카락 굵어지는 법 5가지! (0) | 2017.02.17 |
셀프 치아미백 하는법(feat.코코넛오일) (0) | 2017.02.10 |
PDF파일 변환하기 (Small PDF 사용법) (0) | 2017.02.09 |
희망키움통장 가입조건과 지원대상 (0) | 2017.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