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치주질환에 대해서 포스팅 해볼까 합니다. 모든사람들 한번쯤은 가벼운 양치질에도 피가 나거나 잇몸이 붓고 시린 증상 때문에 당황했던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치은염 및 치주질환으로 치과를 찾는 환자는 1,340만명으로 국민의 약 1/4이 잇몸질환을 앓고 있는 셈 입니다.


이처럼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이다 보니 치료나 관리를 소홀히 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건강한 사람도 몸이 피곤하면 잇몸이 붓는 증상이 나타나곤 합니다. 몸이 피곤하면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잇몸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고, 잇몸의 회복이나 재생 능력 또한 저하되기 때문입니다.







1.먼저 잇몸 건강지수 자가테스트 하는방법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를 닦을 때 잇몸에서 피가 나온다(10점)

-이 사이에 음식물이 자주 낀다(6점)

-치아에 치석이 있는 것 같다(10점)

-나쁜 입 냄새가 난다(8점)

-잇몸에 통증을 가끔 느낀다(8점)

-이가 시린 적이 있다(7점)

-이가 조금씩 흔들리는 곳이 있다(10점)

-잇몸이 자주 붓는다(10점)

-부모님 중에 틀니를 하신 분이 있다(8점)

-피곤하면 이가 들뜬다(8점)

-당뇨병으로 치료 중이거나 치료한 적이 있다(10점)

-현재 담배를 피우고 있다(5점)




0~25점 : 건강한 편

26점~50점 : 적극적 관리가 필요

51점~75점 : 적극적 치료가 필요

76점~100점 : 중증의 치주병






-잇몸이 붓는 원인-







1. 면역력 저하


겨울철 감기에 걸리거나 감기를 앓고 난 뒤 잇몸이 붓거나 통증이 생겨 치과를 방문하는 환자들이 늘어나곤 합니다. 독감이나 몸살 등으로 몸이 약해지면 면역기능까지 저하돼 평소 나타나지 않았던 질병들이 증상으로 나오는 셈입니다. 또한 평소 잇몸질환을 가지고 있었다면 면역력이 떨어진 시점으로 잇몸이 붓거나 피가 나며 통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2. 사랑니


사랑니는 정상적 치아의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도 통증 및 잇몸질환 등 여러 가지 문제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사랑니가 비스듬하게 솟은 경우는 사랑니와 잇몸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잘 끼므로 잇몸염증을 생길 가능성이 높으며 사랑니가 제대로 솟았다 하더라도 사랑니가 있는 곳까지 칫솔이 닿지 않아 사랑니에 충치가 생길 가능성 또한 높습니다.









3. 치주질환


치주질환의 주요 원인은 음식 찌꺼기와 세균이 결합해 치아에 붙어서 생기는 끈끈하고 투명한 막인 치태(플라크)로 꼽을 수 있습니다. 질환의 주요 원인인 치태(플라크)가 딱딱하게 굳으면 치석으로 발전하게 되고 치태와 치석이 겹겹이 쌓여 층을 이루면 치아와 잇몸 사이에 염증을 불러일으킵니다. 










4. 임신


임산부의 경우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의 증가로 잇몸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임신 2~3개월 경에 치은염이 시작돼 8개월경까지 악화되다가 이후 증상이 줄어듭니다. 이를 임심성 치은염이라고 하며 적은 양이 치태와 치석이 있다고 해도 부종이나 출혈이 심하게 나타납니다. 임신성 치은염을 치료하지 않으면 잇몸, 치아 주위의 골과 조직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5. 경구 피임약 복용


피임약을 복용하는 여성의 경우도 임신부처럼 잇몸이 상할 수 있습니다. 경구 피임제는 프로게스테론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인데요 음식물이나 치태에 의해 잇몸이 붉게 붓고 피가 날 수 있습니다.









6. 월경


일부 여성 중에서 월경 시작 3~4일 전에 잇몸 통증과 출혈을 보이는 사례가 있습니다. 월경 기간에도 치은염을 앓을 수 있는데요, 증상으로는 치은의 출혈, 붉게 부어 오르는 부종, 혀 주위의 통증을 꼽을 수 있습니다. 월경성 치은염은 월견 직전에 나타나 월경이 시작되면 없어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들 치아건강 잘챙기시어 80세에도 갈비 뜯어 먹읍시다!

'Fashion &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들레 효능 7가지  (0) 2017.03.01
잇몸이 부었을 때 치료법 6가지  (0) 2017.02.27
골다공증에 좋은 음식  (0) 2017.02.22
방풍나물 효능 및 먹는 방법  (0) 2017.02.21
안구건조증 원인과 예방  (0) 2017.02.16

+ Recent posts